메뉴
  • 보도
  • 사회
  • 기획
  • 사람人
  • 학술
  • 오피니언
  • 공지
  • 한성문학상
UPDATED   2023. 01. 16(월) 00:14
로그인 / 회원가입
전체기사
카테고리
  • 보도
    • 사회
      • 문화
        • 사람人
          • 학술
            • 오피니언
              • 기획
                • 사진공모전
                  • 한성문학상
    공지
    안내데스크
  • 신문사소개
    • 제보 및 문의
      • 개인정보처리 위탁 동의사항
    로그인
    회원가입

    <제54기 수습기자 모집>

    한성을 비추는 한성인의 언론, 한성대학교 학보사 한성대신문사에서 제54기 수습기자를 모집합니다! 모집대상 · 본교 재학생(학번/전공/성별/주·야간 무관) · 4학기 이상 활동 가능자 우대 모집기간 3월 5일(일) 23시 59분까지 주요활동 · 아이템회의 · 취재원 컨택 · 인터뷰 및 사진 촬영 · 레이아웃 디자인 · 초고 작성 및 퇴고 · 교정 및 조판 · 배부 및 기사 업로드 · 평가회의 활동지원 · 학기당 비교과 포인트 100pt 지급 · 원고료 및...

    최신 기사
    • <새내기 기획> 수강신청, 넌 대체 뭐냐! (한성대신문, 585호)
    • <새내기 기획> 몰라도 괜찮지만, 알면 달라지는 한성의 보배 (한성대신문, 585호)
    • <새내기 기획> 학내 노른자 공간을 선점해보자 (한성대신문, 585호)
    • <새내기 기획> 한성에서 세계로, 국제교류프로그램 (한성대신문, 585호)
    • <보도> 2달 만에 또다시 화재 발생 (한성대신문, 584호)
    • <보도기획> 계승인가, 정체인가… 반복되는 총학생회 '왕조의 역사' (한성대신문, 584호)
    보도

    <보도> 남자화장실 구조 논란… "개선 검토하겠다" (한성대신문, 584호)

    최근 상상관, 탐구관 등 일부 남자화장실의 출입문 미설치와 소변기 간 가림막이 없는 사항에 대해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출입문이 존재하지 않는 남자화장실의 경우 복도에서 특정 각도로 바라보면 내부가 보일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개인의 사생활을 충분히 보호하기 위해서는 소변기 간 가림막 역시 필요하다는 주장이 존재한다. 송승민(인문 1)...

    <보도기획> ‘BASE’ 총학생회 ‘기본’ 지켰나 (한성대신문, 584호)

    본지는 2022년 총학생회(이하 총학)의 공약 및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 제37대 총학 BASE 학생 만족도 조사(이하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11월 17일부터 11월 23일까지 구글폼으로 진행된 설문조사에는 재학생 200명, 휴학생 1명, 수료생 1명, 졸업생 1명, 총 203명의 학우가 참여했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학생들은 총학 활동에...

    사회

    <사회> 방치되는 불법 방 쪼개기에 남루한 청춘 (한성대신문, 584호)

    대한민국 국민은 누구나 물리적·사회적 위험에서 벗어나 쾌적하고 안정적인 주거환경에서 인간다운 주거생활을 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 『주거기본법』 제2조에 근거한 내용이다. 하지만 최근 불법적으로 방을 쪼갠 일명 방 쪼개기가 활개를 치고 있다. 방 쪼개기란 용어 그대로 주택 내부에 벽을 세워 방을 나누는 행위를 통칭한다....

    <사회> 보여주기식 청년도전지원사업… 개선 시급 (한성대신문, 584호)

    지속되는 고용시장 침체는 많은 청년을 좌절하게 만들고 있다.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보기 힘들어지자 구직을 단념해 버리는 청년이 급증하는 것이다. 실제로 통계청구직단념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구직활동을 쉬었다고 답한 청년은 2018년 12월 기준 약 33만 명이었으나, 2022년 9월 기준 약 39만 명으로 18%가량 증가했다. 이러한 현상이...

    기획

    <기획> 내일을 질문하는 청년들, 운세에 빠지다 (한성대신문, 584호)

    어떤 것이 궁금해 오셨나요? 번화가를 거닐다 보면 쉽게 점술집을 찾아볼 수 있다. 최근 청년층은 이러한 점술집에서 경험할 수 있는 타로, 사주 등과 같은 운세 보기에 흠뻑 빠졌다. 2019년 설문조사 기업 엠브레인이 진행한 운세 서비스 이용 경험 및 인식 평가에 따르면, 20대가 다른 세대에 비해 사주카페, 길거리 점집에서의 유료 서비스 이용...

    <기획> 사주팔자, 결국 살아가기 나름 (한성대신문, 584호)

    [그림 : 박희진 기자] 사주팔자(四柱八字)를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4개의 기둥과 8개의 글자다. 4개의 기둥(四柱)은 각각 태어난 연, 월, 일, 시를 나타내며, 각 기둥은 2개의 글자로 이뤄져 있다. 이들 글자로 사람이 태어난 때를 나타낸 것을 사주팔자라 하며, 이를 통해 길흉과 운명을 점치는 일이 명리학이다. 8글자들은 특정한 22개의...

    학술

    <학술> 간편결제, 내 손 안의 첨단 마법사 (한성대신문, 584호)

    바야흐로 지갑 없는 세상이 다가오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삼성페이를 필두로 한 간편결제 서비스가 온·오프라인을 막론하고 나날이 위세를 넓히고 있다. 이들은 카드나 현금을 소지하지 않더라도, 스마트폰 등을 통해 마치 카드처럼 결제할 수 있다는 막강한 편리함을 내세우고 있다. 실제로 한국은행에 따르면, 하루 평균 간편결제 서비스...

    <정기자가 보내는 신화로의 초대장> 선화공주는 정말로 서동과 혼인했을까? (한성대신문, 584호)

    예로부터 우리 사회에서 허위사실 유포는 상당히 도덕적 지탄을 받는 행위였다. 다만 우리 설화 속에서는 이를 영리하게 이용하는 이야기를 찾을 수 있다. 바로 선화공주와 서동의 이야기다. 서동은 사랑하는 공주와 혼인하기 위해 선화공주가 자신을 좋아한다며 헛소문을 퍼뜨렸고, 이와 관련한 노래가 현재까지도 문학작품으로 전해져 내려온다. 바로...

    오피니언
    • <삼학송> 소통 그 이상(以上), 학생대표의 정도(正道) (한성대신문, 584호)
    • <기자수첩>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너무 젊다 (한성대신문, 584호)
    • <낙산만평> 참 일찍도 올린다 (한성대신문, 584호)
    • <김 기자의 시선> 바다로의 귀향길은 '정체 중' (한성대신문, 584호)
    • <낙산에 올라>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 (한성대신문, 584호)
    • <의화정> 월드컵과 축구의 의미 (한성대신문, 584호)

    <비행청년> 대학 아닌 대학? 전문대에 다닌다는 것은··· (한성대신문, 584호)

    편집자주 새싹이 파랗게 돋아나는 봄철이라는 청춘. 안타깝지만 모든 청년이 그 말의 의미대로 젊음을 보내는 것은 아니다. 특히 사회에서 등한시되고 있는 소외 청년들은 더욱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 소외된 청년의 문제를 과연 개인의 문제, 비행(非行)으로만 다뤄야 할까. 어쩌면 우리가 알지 못했지만 이제라도 조명해야 할 모두의 문제일 수 있다. 소외 청년들이 날아다닐 수 있는, 비행(飛行)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사회 속 소외된 청년들이 비상하기 위한 발판을 알아보자. 김기현 기자 [email protected] 실용적인 직업교육에 중점을 둔 고등교육기관을...

    한성문학상_소설 부문
    • <제37회 한성문학상 - 소설 부문 당선작> 월세 구하기
    • <제37회 한성문학상 - 소설 부문 심사평> 서술 전략의 힘
    • <제37회 한성문학상 - 소설 부문 수상소감>
    한성문학상_시 부문
    • <제37회 한성문학상 - 시 부문 당선작> 방치
    • <제37회 한성문학상 - 시 부문 심사평> 자신만의 시 형식과 내용에 대한 고민 필요
    • <제37회 한성문학상 - 시 부문 수상소감>
    당선자 기획
    • <보도기획> 신규 중앙운영위원회 출범, 새해 향해 '박차' ① 제38대 총학생회 '이음' (한성대신문, 584호)
    • <보도기획> 신규 중앙운영위원회 출범, 새해 향해 '박차' ② 제39대 총대의원회 '청아' (한성대신문, 584호)
    • <보도기획> 신규 중앙운영위원회 출범, 새해 향해 '박차' ③ 제40대 학생복지위원회 '채움' (한성대신문, 584호)
    공지
    • <제54기 수습기자 모집>
    • <제37회 한성문학상 현상공모>
    • <제53기 수습기자 모집>
    많이 본 뉴스
    • 1
      <제54기 수습기자 모집>
    • 2
      <새내기 기획> 수강신청, 넌 대체 뭐냐! (한성대신문, 585호)
    • 3
      <새내기 기획> 몰라도 괜찮지만, 알면 달라지는 한성의 보배 (한성대신문, 585호)
    • 4
      <새내기 기획> 학내 노른자 공간을 선점해보자 (한성대신문, 585호)
    • 5
      <새내기 기획> 한성에서 세계로, 국제교류프로그램 (한성대신문, 585호)
    • 6
      <낙산에 올라> 애플페이는 한국에 상륙할 수 있을까? (한성대신문, 578호)
    • 7
      <낙산에 올라> 당신은 어떤 향을 갖고 있나요 (한성대신문, 577호)
    • 8
      <보도> 야간, 주간에 비해 편의시설 이용고충 ‘태반’ (한성대신문, 579호)
    • 9
      <보도> 10명 중 4명 만족, 소속감·취업률 등은 불만 (한성대신문, 577호)
    • 10
      <보도> '트랙제 설문조사' 시행, 긍정과 부정 사이의 기울기는? (한성대신문, 576호)
    • 신문사소개
    • 제보 및 문의
    • 개인정보처리 위탁 동의사항

    상호명 : 한성대신문사 |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 16길 116-0 한성대학교 제1별관 2층 한성대신문사
    등록번호 : 서울 아 12345 | 등록일자 : 2019.01.01 | 발행인 : 이창원 | 편집인겸주간 : 박선옥 | 편집국장 : 한혜정
    한성대신문사의 모든 컨텐츠와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02)760-4186 / [email protected]

    • instagram
    • kakaotalk
    • naver blog
    • facebook
    powered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