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73 건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박근혜 게이트와 관련하여 다양한 시위가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시위들에는 어린 아이와 함께하는 가족들과 다수의 학생들도 참여하며, 하나의 문화 축제처럼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시위의 문화는 어떻게 정착된 것일까?근대 이전에도 상소의 형태로 일종의 시위가 있었지만, 대중적이며 체계적인 시위의 시초는 1919년에 일어난...

  • 2016-11-28 10:59

지난 11월 12일, 민중총궐기대회를 비롯한 박근혜 하야 촉구 촛불집회가 광화문 일대에서 진행되었다. 이 집회에는 집회측 추산 100만여 명, 경찰 추산 26만여 명이 참여했다. 이는 그보다 일주일 앞선 11월 5일 박근혜 하야 촛불집회(주최측 추산 20만여 명, 경찰 추산 4만 5천여 명)를 월등히 뛰어넘는 숫자이다. 이 날 있었던 집회는 오후 4시부터...

  • 2016-11-28 10:39

언론은 죽지않는 저널리즘이다 대학언론협동조합 정상석 이사장 혹시 알리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알리는 알 권리의 줄임말로, 최근 대학가에서 속속 세워지고 있는 독립언론이다. 독립언론이란 학보사처럼 대학본부에서 지원을 받지 않고, 대학본부와는 완전히 독립적으로 발행하는...

  • 2016-11-28 10:31

2016년도 대동제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번 대동제는 학내 모든 구성원이 참여하여, 함께 즐길 수 있는 화합의 장이 되었다. 축제의 뜨거운 열기와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생생한 모습을 이번 기획에 담아보았다. ▲ 사이먼 도미닉, 쌈자신...

  • 2016-11-07 19:41

명동이나 인사동 같은 번화가를 걷다보면, 많은 외국인들을 볼 수 있다. 가깝게는 학교에서 외국인 유학생들과 수업을 같이 듣기도 한다. 이처럼 많은 외국인들이 관광·유학·취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한국을 방문한다. 법무부에 따르면, 작년 한해 우리나라로 입국한 외국인은 약 1천3백만 명이다. 대부분은 비자가 끝나기 전에 본국으로 돌아간다....

  • 2016-10-10 18:37

이미지 출처 : 아이클릭아트 동물보호법 개정안의 배경과 한계, 그리고 의의 ...

  • 2016-09-19 15:43

우리 주변에는 해마다 집을 찾기 위해 발품을 파는 학생들이 있다. 비수도권에 사는 학생들이다. 서울과 수도권의 부동산 가격이 계속해서 오른 까닭에, 이 학생들이 좋은 집을 좋은 가격에 구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지난 2014년 청년위원회 조사에 따르면,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원룸 세입자 대학생들은 평균 1,418만 원을 보증금으로, 42만 원을...

  • 2016-08-30 17:20

“통학이 힘들더라도 우리집이 편해요” 경기도 양주시에 거주하는 A학생은 수업시간 3시간 전에는 일어나야 한다. 통학시간은 평균 1시간 20분이지만, 버스가 꼭 제 시간에 오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씻고 학교 갈 채비를 해서 어느 정도는 여유를 두고 집을 나서야 한다. 1교시 수업이 있는 날은 아무리 늦어도 6시 30분에는 일어나야 한다. 돌아올...

  • 2016-08-30 17:20
  11 12